피츠의 법칙 Fitt's Law
핸드폰을 사용하실 때, 열심히 정보를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누르려고 하는데, 다른 버튼이 눌려서 화가 난 적 없으신가요? 아니면 번호를 누를 때에 9번을 누르려고 했는데 항상 delete 버튼이 눌려서 두 번 더 입력을 해야 했던 적은요 ?
이번엔 다른 기억을 꺼내보겠습니다.
혹시 가입하기 버튼은 찾기가 쉬운데 가입 해지하기 버튼은 찾기 위해 한참을 헤매거나 엄청난 페이지를 스크롤 해서 제일 밑에 가장 작은 버튼을 클릭해야 했던 적 있으신가요 ?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는 심리학의 법칙 중 하나가 바로 피츠의 법칙 Fitt's Law 입니다.
피츠의 법칙 Fitt's Law
피츠의 법칙은 인간-컴퓨터 간의 상호작용 분야에 있어서 인간의 행동에 대한 속도와 정확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피츠의 법칙을 설명한 공식도 있지만, 사실 이렇게 세밀하게 식을 파헤쳐보기 보다는 빠르고 실용적인 이해를 해볼까 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피츠의 법칙은 어떤 목표에 닿기 위해 목표물의 크기가 작아질 수록 속도와 정확도가 나빠지며, 목표물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필요한 시간이 더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빠르게 이해 할 수 있는 실생활의 예시로는 바로 구독하기와 구독 해지하기가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서비스를 구독할 때에는 정말 찾기 쉬운 곳에 구독하기 버튼이 있습니다. 심지어 구독을 신청하는 절차조차 정말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게 되어있죠.
하지만 우리가 서비스 구독을 해지하려 한다면, 정말 양심적이고 회사의 서비스에 자부심이 있는 회사들은 구독 해지하기 버튼 또한 찾기 쉽게 위치시켜 놓습니다만, 간혹 가다 정말 고객의 해지를 막고 싶은 회사들은 구독하기 버튼은 엄청나게 긴 페이지의 끝자락에 해지 버튼을 작게 넣어놓는 다거나. 심한 경우엔 구독 해지 버튼은 숨기기도 합니다.
자 여기까지가 바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말씀드린 피츠의 법칙 입니다.
그럼 이제 개발자와 기업가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이 법칙을 이용해야 할까요 ?
당연히 위의 예시처럼 고객에게 유도하고 싶은 행동의 기능은 누르기 쉽게, 그리고 빨리 접근할 수 있게 해야겠죠.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고객이 그 행동을 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게 해야 할 겁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 버튼 사이의 간격이 적정한 선 이상으로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바로 이 부분이 간과하기 쉬운 부분인데요. 아무리 회원의 구독을 유도하고 싶어서 구독 버튼을 크고 가깝게 배치하고, 과정을 간단히 한다고 해도, 고객이 카드 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 제출 버튼을 누르려고 하는 그때, 취소 버튼이 바로 옆에 있고, 또 너무 가까이 있음으로써 실수로 취소 버튼을 누른다면? 만일 귀찮음이 가득한 고객의 경우 카드 정보를 다시 입력하고 싶지 않아서 '나중에 구독하지 뭐 서비스를 종료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 가지 더 궁금한 점들이 있을 수 있을 겁니다. '빨리 접근할 수 있다는 말은 무슨 말이지 ?' 라는 궁금증이죠. 특히 핸드폰의 경우에는 손의 위치에 따라 핸드폰 화면에 도달하는 거리와 편리성이 달라지니까요. 여기서 스티븐 후버 (Steven Hoober) 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시선을 두거나 터치하기 선호하는 영역은 스마트폰 화면의 중앙부이고, 정확도 또한 중앙부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어떻게 보면 참 다행이죠? 스마트폰을 보는 방식의 종류를 알아내고, 또 그 연령층이나 고객의 성향 등의 우리의 타겟층과 맞는지에 대한 고민까지 할 필요는 없어졌으니까요. 또한 PC에서는 일반적으로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화면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디자인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간단하다면 간단하지만, 또 매우 중요한 UX UI 디자인 심리학을 살펴보았습니다.
사용자 경험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기본이 정말 중요함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으로도 좋은 이야기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